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(106)
[DB] 데이터베이스 명령어2 (MariaDB) - AS, IN, LIKE, BETWEEN 별칭 * 별칭사용하기 - 별칭을 사용하는 이유 : 긴 단어를 줄여서 사용하는데 좋음 - SQL에서 별칭을 사용할 수 있는 곳 ① 컬럼명 대신 별칭 사용 : as ex) SELECT mem_id AS id ② 테이블명 대신 별칭 사용 : 한칸 띄어쓰기 ex) FROM member mem * 회원 테이블 전체 조회하기 - 컬럼정보 : [mem_id, mem_pass, ....] - [{'a001', 'asdfasdf', ...}, {'b001', '1004'...}, {},,,] → 딕셔너리 한 개가 테이블의 한 줄로 입력됨 SELECT * FROM member; * 컬럼명 별칭 사용하기 [회원의 마일리지 값이 10 이상인 데이터만 조회하기] - 조회컬럼 : 회원아이디, 회원이름, 마일리지 - 별칭 : id..
[DB] 데이터베이스 명령어1(MariaDB, HeidiSQL) * commit과 rollback -- 데이터에 대한 입력/수정/삭제 시에는 commit 수행 -- 만약 입력/수정/삭제를 되돌리려면, rollback 수행 -- commit 이후에는 rollback이 안됩니다. -- mysql or mariadb는 자동 commit됩니다.(tool에서) -- oracle은 항상 commit 해야합니다.(tool에서) -- COMMIT; * 데이터 입력 (INSERT) INSERT INTO 테이블명 (컬럼명1, ...컬럼명N) VALUES (값1, ... 값N) * 데이터 수정 (UPDATE) UPDATE 테이블명 SET 수정할컬럼명1= 수정할값, 수정할컬럼명2= 수정할값 WHERE 수정조건 제시...(무조건) * 데이터 삭제 (DELETE) DELETE FROM 테이블..
[DB]데이터베이스 기본 이론 및 설치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우리가 웹을 개발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입력된 정보들을 저장하게 되는데, 파일이 아닌 데이터베이스를 주로 사용하는 이유를 알아보자. [ 파일에 데이터를 보관하는 문제점 ]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중복 저장 저장공간의 낭비,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움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파일에 종속적 원래는 없던 컬럼을 추가하기 위해 파일시스템을 수정하면 응용프로그램도 수정해야함 데이터파일의 공유, 보안, 회복 기능이 약함 DBMS는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. 별도의 파일로 관리되던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하면서 응용프로그램을 대신해서 데이터를 검색, 삽입,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되었다. 응용프로그램들은 ..
[Python] 파이썬 실습2 - 회원전용 도서관리 키오스크 만들기 : 회원 번호는 문자열 무엇이든 상관없이 등록 : 서비스 종료 시 프로그램 자체 종료 [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 인증] 1. 회원번호 등록 2. 회원 인증 3. 서비스 종료 : 도서 정보 : 도서번호, 도서제목, 재고권수 : 도서 상태 확인 : 특정 도서에 대한 정보 조회(도서번호, 도서제목, 현재권수/전체권수) [도서 서비스 메뉴] 1. 도서 입고 2. 도서 대출 3. 도서 반납 4. 도서 상태 확인 5. 도서 전체 목록 확인 6. 도서 서비스 종료(회원 인증 메뉴로 갑니다.) 저번에 한 코드를 더 발전시켜보았다. 1. 유저정보 등록 함수 : user_register() - user_id 값 입력 - users 리스트 생성 후 값 넣기(append) 2. 유저인증 함수 : user_check() - 입..
[Python] 파이썬 알고리즘 - 이터레이터(Iterator), readLine(), nextLine() 이터레이터(Iterator) 파이썬에서 반복 가능한 객체(클래스)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__iter__() : 이터레이터 객체 자체를 반환 __next__() : 다음 요소를 반환, 더 이상 반환할 요소가 없으면 raise StopIteration 예외를 발생시켜 순회를 종료 이터레이터는 init() 함수와 next() 함수를 이용하여 반복(Iterator)을 수행함 이터레이터 기능은 반복문(for or while)을 사용해야만 작동하는 기능 최초 __iter__() 함수를 호출하고, 출력 시 __next__() 함수가 한번씩 수행하면서 값을 반환받아서 출력함 한번 반환된 후 메모리는 초기화되며, 다음 반복시 다시 메모리 사용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java의 readLine()..
[Python] 파이썬 알고리즘 - 제너레이터(Generator) 제너레이터(Generator) 함수를 이용해서 이터레이터(반복)의 기능을 구현 이터레이터와 동일하게 호출 시점에만 메모리를 사용하고 사용이 끝나면 소멸된다. 반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return이 아닌, yield를 사용한다. 이터레이터와 동일하게 전체 또는 next() 한건씩 출력 가능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쓰고 싶을 때 사용(보통 시스템 구축할 때 많이 사용) 이터레이터(클래스 기반), 제너레이터(함수 기반) def simple_generator(): ### 첫번째 반환할 값 yield 1 ### 두번째 반환할 값 yield 2 ### 세번째 반환할 값 yield 3 제너레이터 전체 출력하기 - 제너레이터에서는 함수를 객체로 인지하고 사용한다. - 함수를 생성한다는 의미 ..
[Python] 파이썬의 기초 - 매개변수, 기본값(default) 1. 위치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함수 매개변수 : 어떤 값이 들어갈지 모르는 변수 인자 : 함수안에 들어가는 값 a는 첫번째 위치에 들어가는 위치매개변수 b는 두번째 위치에 들어가는 위치 매개변수 def function1(a, b): print(a, b) function1(1 , 2) 결과 1 2 2. 기본값(default) 정의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함수 단, 기본값이 첫번째 매개변수 자리에 오면 오류!!! 둘 다 기본값이면 상관 없음. def function2(a, b=3): print(a, b) function2(5) 결과 5 3 3. 키워드 정의 방식(함수 호출 방식) : 이때는 매개변수 위치 바뀌어도 적용 def function3(a, b): print(a, b) function3(a=3, b=5)..
파이썬 실습2 - 도서 입고/대출/반납 관리를 위한 키오스크 만들기 (데코레이터) class 클래스 명: def decorator_function1(): def wrapper(): @decorator_function1 def 매입함수 def decorator_function2(): def wrapper(): @decorator_function2 def 대출함수 def decorator_function3(): def wrapper(): @decorator_function3 def 반납함수 class LibraryKiosk: #초기생성자 def __init__(self): #books는 맴버변수 self.books = {} print('클래스 생성 되었습니다.') #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