컴퓨터 언어에서 등장하는 변수에 대해 알아보고
변수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, 각 형태들의 기능을 알아보자!
[변수]
1. 변수
- 데이터를 저장하고, 변하는 수
- 이름과 값으로 구성
- 변수는 공간이다
2. 변수는 왜 필요한가?
- 데이터는 자주 변하기 때문에 중복을 줄이기 위해서 변수 지정이 필요하다.
- 변수명을 잘 정해 주어야 정보를 알아 보기 편하다.
3. 변수 이름 규칙
- '영문자 + 숫자 + 언더바' 형식
ex) a, a1, a1_
- 대소문자 구분한다
- 의미있는 이름을 사용
-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
-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
- 특수문자가 있으면 안된다
- 카멜(camelCase) : 첫글자는 소문자로 시작, 두번쨰 단어부터는 대문자로 표현하는 방식
- ex) myCompany
- 스네이크(snake_case) : 모두 소문자로 표현하며,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언더바(_) 를 사용
- ex) my_company
4. 예제
age1 = 25
age2 = 10
age3 = 39
age4 = 40
print(age1, age2, age3, age4)
[데이터 종류]
1. 숫자형 : 정수, 실수
- 정수(int) : 1, 2, -1, 0
- 실수(float) : 1.11, -1.0000, 10e5(십만), 10-e5
- 숫자형 연산 : +(더하기) , -(빼기) , *(곱하기) , /(나누기) ,%(나머지)
※ % 유용하게 쓰임 : 짝수,홀수 구분 / 몇의 배수인지 구분할 때
- 파이썬은 += , -=은 사용 한다. 하지만, ++a, a++ 증감연산자는 사용하지 않는다.
- a += 1은 a = a + 1을 줄인 표현 방법이다.
- 예제1
# 과일 가게의 총 매출
품목 :
바나나 (1000원)
사과 (500원)
체리 (5000원)
고객 :
손씨 : 사과 (2)
손씨 : 체리 (3)
김씨 : 사과 (4)
박씨 : 바나나 (1)
박씨 : 사과 (2)
박씨 : 체리 (1)
# 객단가(고객 1명당 평균 매출)는?

2. 문자형 : 문자, 문자열
- 문자 형태의 데이터
- "" 이용하거나 ''로 감싸준다.
- 여러줄 표현 ''' 내용 '''
- 문자열 연산자 + 과 * 가능 (단, *숫자 만 가능 => 반복된 형태로 출력)
- 인덱싱
- 슬라이싱(잘라내기) : 인덱스의 시작 ~ 끝 (간격)을 지정하는 방법
- a [ start : end ] : start는 포함, end는 불포함 (인덱스는 0부터 시작)
- print(a[-1]) : -1 index는 맨 마지막 글자
- 문자열 포매팅 :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바꿀 때 사용
- '문자열 {}'.format(변수)
- f.'문자열 {변수}'
- 문자열 포맷 코드
코드 | 설명 |
%s | 문자열(string) |
%c | 문자 1개(character) |
%d | 정수(integer) |
%f | 부동소수(floating-point) |
%o | 8진수 |
%x | 16진수 |
%% | Literal %(문자 % 자체) |
- 문자열 연산 : + , * 가능 ( 단, *숫자 만 가능 => 반복된 형태로 출력 )
- 문자열 길이 :
- len(변수)
- 변수.__len__()
- 문숫자 + 문자 + 숫자
a = 'Number'
b = 7
print(a, b)
print(type(a))
print(type(b))
- java에서는 int를 string으로 변환 하고 싶을 때 변수 앞에 (str)을 넣어서 바꿨는데,
- python에서는 int를 string으로 변환 하고 싶을 때 str(변수) 형태로 바꿀 수가 있다.
- # sep : 구분자, 구분자를 ' | , \n ' 이걸로 바꾸겠다.
- # end : 접미사, 끝에 ' 내용 '을 넣겠다.
- 문자열 함수
- upper() : 대문자 바꾸기
- lower() : 소문자 바꾸기
- count() : 문자열 안의 특정 문자열 개수 반환
- join() :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삽입
- split() :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다.
- replace() : 특정 문자열을 지정 문자열로 변환
- strip() : 공백 제외 (lstrip, rstrip) // java에서 trim()
- find() : 특정 문자열을 찾아 준다.
3. 복합형 : 클래스, 배열, 리스트, 딕셔너리
- print(type(변수명)) 으로 데이터 형태 알 수 있다.
[Input 함수]
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string타입으로 반환한다.
변수 = input()의 형식으로 사용
[print 함수]
기본 출력 장치로 결과를 출력
[range 함수]
range (시작, 끝, 간격) => 리스트 반환
728x90
'Back-End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파이썬 - 불리언, 집합, 제어문 (5) | 2023.11.03 |
---|---|
[Python]파이썬 변수 - 숫자, 문자열, 리스트, 튜플(2) (0) | 2023.11.03 |
[Python] Markdown 문법 (2) | 2023.11.02 |
[Python]파이썬 1일 차 공부 (2) | 2023.11.02 |
[Python]파이썬 환경 설정 (0) | 2023.11.01 |